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스트리밍2

방송국 종사자를 위한 OTT 흐름 (채널 → 플랫폼) OTT의 급성장은 전통 방송국에도 큰 도전을 안겨주고 있습니다. 방송 채널이라는 폐쇄된 생태계에서 콘텐츠 플랫폼 중심의 개방형 OTT 환경으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는 지금, 방송국 종사자들은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할 시점입니다. 본 글에서는 방송국 중심의 콘텐츠 공급 구조가 어떻게 OTT 플랫폼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는지, 그 기술적·산업적 흐름을 설명합니다.방송국 중심의 채널 시대 - 편성의 논리와 유통 독점오랫동안 방송 산업은 방송국 중심의 ‘채널 기반 구조’로 작동해 왔습니다. 공중파 및 케이블 방송사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편성하고, 광고 수익과 시청률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습니다. 이 구조는 유통 권한이 방송사에 있었기 때문에, 시청자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채널.. 2025. 7. 28.
OTT 기술 발전 연대기 (압축코덱, 네트워크, 화질) OTT(Over-The-Top) 서비스는 단순히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넘어서, 그 기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 경험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어 왔습니다. 특히 영상 압축코덱의 진화, 인터넷 네트워크 속도의 향상, 그리고 고해상도 영상 전송 기술은 OTT가 대중화되고 정착되는 데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. 본 글에서는 OTT 기술의 시대별 발전 흐름을 세 가지 축—압축코덱, 네트워크, 화질—을 중심으로 상세히 분석합니다.압축코덱의 진화 - OTT의 기초를 다지다OTT 서비스의 시작은 결국 ‘영상 데이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압축하고 전송하느냐’에서 출발합니다. 초창기에는 MPEG-2가 주로 사용되었지만, 이는 고해상도 영상 처리에 있어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OTT 스트리밍에 한계가 있었습니다. 이후.. 2025. 7. 27.
반응형